대한민국은 어떻게 성장해왔을까요?
1950년대 전쟁의 폐허 속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경제는 지금 어디까지 와 있을까요?
GDP(국내총생산)과 1인당 GDP, 그리고 출산율, 기대수명 같은 사회지표를 함께 분석해보면, 우리가 지나온 길을 보다 입체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국가통계포털(KOSIS)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R을 활용한 간단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의 경제 및 사회 지표 변화 흐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데이터 요약: 1953년부터 2023년까지
분석에 사용한 주요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GDP (국내총생산, 단위: 억 원)
- 1인당 GDP (단위: 백만 원)
- 합계출산율(TFR)
- 기대수명(LEO)
이 데이터를 연도별로 1950년대부터 10년 단위로 묶어 분석하고,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국가통계포털(KOSIS)의 데이터에서 다운받은 'GDP데이터'와 '인구동향조사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경제성장과 삶의 질
- 기대수명과 GDP : 높은 상관관계 ( r = 0.93)
- 시간이 지남에 따라 GDP와 기대수명 모두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 이는 경제 성장 → 의료, 교육, 생활환경 개선 → 기대수명 증가라는 긍정적 연결고리를 보여줍니다.
-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더 오래, 건강하게 살아갈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경제성장과 출산율 감소
- 출산율과 GDP : 음의 상관관계 ( r = -0.68 )
- 반면, GDP가 상승할수록 합계출산율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이는 도시화, 여성의 사회 진출, 교육비 및 주거비 상승 등 다양한 사회구조적 요인이 함께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 단순한 경제적 풍요가 출산율을 높여주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눈에 띕니다.
🔍 10년 단위로 본 경제 성장의 속도
10년단위 | 1인당 GDP |
1950s | 0.6 |
1960s | 3.2 |
1970s | 35.2 |
1980s | 229.7 |
1990s | 916.9 |
2000s | 2001.7 |
2010s | 3416.9 |
2020s | 4477.4 |
-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GDP와 1인당 GDP가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 특히 2000년대 이후 개인 소득 수준이 크게 증가하면서 삶의 질도 함께 개선되었다는 점을 데이터가 보여줍니다.
📌 GDP와 사회지표 분석을 통한 시사점
1. 경제 성장과 삶의 질 향상 간의 연관성
- 기대수명과 GDP 간의 높은 양의 상관관계(0.94)는 경제성장이 국민의 건강과 복지 수준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킨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이는 의료 인프라 확충, 영양 개선, 생활 환경 개선 등이 경제력 증가와 함께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2. 경제 성장과 출산율 감소의 역설
- GDP와 출산율 간의 음의 상관관계(-0.68)는 경제가 성장할수록 출산율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이는 도시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양육 비용 상승, 교육 중심 사회 분위기 등의 구조적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단순히 경제력이 높아졌다고 출산율이 높아지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10년 단위의 경제 성장 추이로 본 발전 단계
- 연도별 GDP 및 1인당 GDP 데이터를 10년 단위로 범주화한 결과, 197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특히 2000년대 이후 1인당 GDP가 급격히 상승한 것은 국가 경제가 양적 성장뿐 아니라 개인 수준에서도 풍요로워졌음을 나타냅니다.
4. 정책적 시사점
- 출산율 제고 정책은 단순한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고, 사회 구조적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 건강·복지정책은 경제성장과 선순환 관계를 이루므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 1인당 GDP 상승이 기대수명 향상과 밀접하다는 점에서, 삶의 질 지표를 반영한 경제정책 수립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이번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이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는지, 그리고 그 성장의 이면에 어떤 사회적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GDP 성장률만 보지 말고, 그 속의 삶의 질, 가족 구조, 인구 변화까지 함께 바라보는 시선이 필요합니다.
'IT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로 회귀 모델 만들기 : 주행 속도와 제동 거리 (0) | 2025.04.03 |
---|---|
국내 인구동향 변화 분석 (1970~2023) ( + R코드 ) (0) | 2025.04.01 |
빅데이터 분석이란? 개념과 활용사례 총정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