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관련

GDP로 보는 대한민국의 변화 – 경제성장, 출산율, 기대수명의 상관관계

by aostory77 2025. 4. 2.

대한민국은 어떻게 성장해왔을까요?

1950년대 전쟁의 폐허 속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경제는 지금 어디까지 와 있을까요?
GDP(국내총생산)과 1인당 GDP, 그리고 출산율, 기대수명 같은 사회지표를 함께 분석해보면, 우리가 지나온 길을 보다 입체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국가통계포털(KOSIS)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R을 활용한 간단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의 경제 및 사회 지표 변화 흐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데이터 요약: 1953년부터 2023년까지

분석에 사용한 주요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GDP (국내총생산, 단위: 억 원)
  • 1인당 GDP (단위: 백만 원)
  • 합계출산율(TFR)
  • 기대수명(LEO)

이 데이터를 연도별로 1950년대부터 10년 단위로 묶어 분석하고,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국가통계포털(KOSIS)의 데이터에서 다운받은 'GDP데이터'와  '인구동향조사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gdp.csv
0.00MB
stdata.csv
0.00MB

 

gdp.csv파일 불러오기
10년단위로 파생변수 생성
GDP와 1인당 GDP시각화 작업
연도와 GDP, 연도와 1인당 GDP의 상관관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
stdata.csv읽어오기, year열을 기준으로 gdp.csv 병합

 

gdp와 출산율 시각화, 상관계수 -0.6856622

 

GDP와 출산율 시각화
gdp와 기대수명 시각화, 상관계수 0.9310724

 

GDP와 기대수명 시각화


 

📈 경제성장과 삶의 질

-  기대수명과 GDP  :  높은 상관관계 ( r = 0.93)

  • 시간이 지남에 따라 GDP와 기대수명 모두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 이는 경제 성장 → 의료, 교육, 생활환경 개선 → 기대수명 증가라는 긍정적 연결고리를 보여줍니다.
  •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더 오래, 건강하게 살아갈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경제성장과 출산율 감소

-  출산율과 GDP  :  음의 상관관계 ( r = -0.68 )

  • 반면, GDP가 상승할수록 합계출산율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이는 도시화, 여성의 사회 진출, 교육비 및 주거비 상승 등 다양한 사회구조적 요인이 함께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 단순한 경제적 풍요가 출산율을 높여주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눈에 띕니다.

 

🔍 10년 단위로 본 경제 성장의 속도

시기평균 1인당 GDP(만원)

 

10년단위 1인당 GDP
1950s 0.6
1960s 3.2
1970s 35.2
1980s 229.7
1990s 916.9
2000s 2001.7
2010s 3416.9
2020s 4477.4
  •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GDP와 1인당 GDP가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 특히 2000년대 이후 개인 소득 수준이 크게 증가하면서 삶의 질도 함께 개선되었다는 점을 데이터가 보여줍니다.

 

📌 GDP와 사회지표 분석을 통한 시사점

1. 경제 성장과 삶의 질 향상 간의 연관성

  • 기대수명과 GDP 간의 높은 양의 상관관계(0.94)는 경제성장이 국민의 건강과 복지 수준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킨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이는 의료 인프라 확충, 영양 개선, 생활 환경 개선 등이 경제력 증가와 함께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2. 경제 성장과 출산율 감소의 역설

  • GDP와 출산율 간의 음의 상관관계(-0.68)는 경제가 성장할수록 출산율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이는 도시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양육 비용 상승, 교육 중심 사회 분위기 등의 구조적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단순히 경제력이 높아졌다고 출산율이 높아지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10년 단위의 경제 성장 추이로 본 발전 단계

  • 연도별 GDP 및 1인당 GDP 데이터를 10년 단위로 범주화한 결과, 197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특히 2000년대 이후 1인당 GDP가 급격히 상승한 것은 국가 경제가 양적 성장뿐 아니라 개인 수준에서도 풍요로워졌음을 나타냅니다.

4. 정책적 시사점

  • 출산율 제고 정책은 단순한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고, 사회 구조적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 건강·복지정책은 경제성장과 선순환 관계를 이루므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 1인당 GDP 상승이 기대수명 향상과 밀접하다는 점에서, 삶의 질 지표를 반영한 경제정책 수립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이번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이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는지, 그리고 그 성장의 이면에 어떤 사회적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GDP 성장률만 보지 말고, 그 속의 삶의 질, 가족 구조, 인구 변화까지 함께 바라보는 시선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