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관련

국내 인구동향 변화 분석 (1970~2023) ( + R코드 )

by aostory77 2025. 4. 1.

  오늘은 통계청(KOSI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인구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려 합니다. 출산율, 사망률, 혼인건수, 기대수명 등의 항목을 분석하여 인구동향의 흐름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데이터 수집 및 구성

이번 분석은 통계청(KOSIS)에서 제공하는 인구동향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도 (year)
  • 조사망률 (cdr)
  • 합계출산율 (tfr)
  • 혼인건수 (marn)
  • 기대수명 (life_expec)

데이터는 1970년부터 최근 연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CSV 파일로 정리했습니다.

population.csv
0.00MB
데이터 읽어오기
데이터 읽어오기

 

 

🧹 2. 데이터 전처리 및 파악

✅ 결측치 확인

데이터 내 결측치는 없었습니다. 모든 변수는 정상적으로 분석에 활용 가능합니다.

✅ 자료 구조

총 54개의 관측치와 5개의 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도별로 인구와 관련된 주요 지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결측치 확인


 

📈 3. 주요 통계 요약

🔟 10년 단위로 요약한 평균 값

10년단위 요약 및 평균값

 

합계출산율 (TFR), 기대수명, 조사망률

 

10년단위 연도 합계출산률 기대수명 조사망률
1970s 3.60 64.02 7.16
1980s 1.95 68.64 6.07
1990s 1.60 73.64 5.35
2000s 1.21 78.02 5.07
2010s 1.15 81.81 5.41
2020s 0.79 83.33 6.58

📌 요약 포인트: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반면, 기대수명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 4. 상관관계 분석

합계 출산율(TFR)과 연도, 기대수명, 조사망률의 상관관계

 

상관관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연도 -0.87 (매우 강한 음의 상관관계)
기대수명 -0.88 (기대수명이 높을수록 출산율은 감소)
사망률(CDR) +0.74 (상대적 상승 관계)

📌 해석:
연도 흐름에 따라 출산율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으며, 기대수명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인구 구조는 저출산·고령화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corrplot을 활용한 합계 출산율(TFR)과 연도, 기대수명, 조사망률의 상관관계

상관관계 보기
시각적으로 상관관계 보기

합계 출산율(TFR)과 연도, 기대수명, 혼인건수, 조사망률의 상관관계 그래프


 

📊 5. 시각화 결과

✅ 연도별 산점도

  • 출산율, 사망률, 기대수명, 혼인건수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분석
  • 선형적인 감소/증가 추세 확인 가능

✅ 10년 단위 막대그래프

  • 10년단위 연도별 출산율 평균을 시각화하여 변화를 쉽게 파악

  • 10년단위 연도별 기대수명 평균을 시각화하여 변화를 쉽게 파악


 

🧠 6. 결론 및 시사점

  • 출산율 감소는 노동 인구 부족, 인구 구조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률 저하, 사회적 부담 증가로 연결됩니다.
  • 기대수명 증가는 의료 기술 발달과 생활 수준 향상 때문으로 보이나, 고령화로 인한 복지 부담 증가가 예상됩니다.
  • 혼인율 감소는 출산율 감소와도 직결되며, 주거, 일자리, 교육 등 다양한 사회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이번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의 인구 구조 변화를 데이터로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향후 출산 장려 정책, 고령사회 대비 복지 제도 등 다양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